처제없는 사람만 보시오
강남덕(02)
작성일
08-08-28 10:47 9,541회
2건
본문
건넛마을 최진사 댁의 셋째 딸을 차지한 칠복이는 돌쇠와 먹쇠를
누르고 금메달을 거머쥐었지만 두고두고 느낄 아쉬움 하나가 있었
음을 그때는 몰랐을 거다. 바로 막내딸과 결혼함으로써 자기에게는
처제가 없다는 것.
결혼과 동시에 남자는 장인, 장모 등 새로운 가족이 생기지만 그중
결혼과 동시에 남자는 장인, 장모 등 새로운 가족이 생기지만 그중
에 제일의 선물은 바로 처제다. 특히 여동생이 없는 남자의 경우 처
제는 더 각별한 존재일 테고, 설령 그렇지 않다 해도 언니와 비슷하
면서도 언니보다 더 싱그런(?) 처제는 그저 귀엽고 보호해주고 싶
은 대상이 된다.
사람의 관계라는 것은 형태와 정도를 달리한 정치적, 권력적 이해
사람의 관계라는 것은 형태와 정도를 달리한 정치적, 권력적 이해
관계가 얽히고설켜 벽이라는 것이 생기는 법인데 형부와 처제는 이
런 부분에서도 탈이해적이고 편안하다. 장모가 사위에게 잘해주는
것은 자기 딸로 그 애정이 돌려지기를 바람이지만, 형부에게 잘하
는 처제는 그런 생각까지 진도를 나가지 못한다. 사위가 장인에게
잘해드리는 것은 결국 자기 아내가 시부모에게 잘해줄 것이라는 보
상심리가 있지만, 처제에게 잘해주는 형부는 그런 식으로 계산기를
두드리지 않는다.
여기다 부부싸움이라도 한 날이면, 원수 같은 아내를 험담하면서
속을 풀 수 있는 대상으로 처제만큼 '딱'인 사람도 없다. 같은 상황
에서 처남이라면 제 누이 편을 들 것이지만 처제는 끝내 형부 편을
들 것이라는 근거 없는 확신을 남자들은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
다 보니 세상의 형부들은 처제 앞에서 늘 부처님 상이 되어 처제가
뭔가를 부탁이라도 하면 언니도 모르게 기꺼이 흑기사가 돼버릴 수
밖에.
처제가 이모가 되었을 때, 처제를 향한 형부의 사랑도 한 단계 더
처제가 이모가 되었을 때, 처제를 향한 형부의 사랑도 한 단계 더
진화한다. 내 아이들에게 이모는 한없이 좋은 친구이며, 이야기 상
대이며 또 하나의 엄마가 된다. 이상하기도 하지? 어느 집이든 똑
같은 조카를 두고 고모보다는 이모가 더 가깝다. 집안만 그런가?
하다못해 '이모네 파전', '이모네 곱창집'은 있을지언정 '고모네 백
반', '고모네 떡볶이집'은 보이지 않는다. 식당 아주머니에게 "이
모"라 부를지언정 "고모"라고 부르는 사람은 본적이 없다. 이렇듯,
고모가 '엄숙함' '무게감'의 느낌을 줄 때 이모는 '경쾌함' '친근
함'의 분위기를 주는 것이다. 이것을 모계사회의 단면이라고 볼 수
도 있고 남매 쪽보다는 자매 쪽이 더 살가운 정을 나누기 때문이라
고 해석할 수도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이든 내 아이를 자기 새끼처럼
보살펴주는 처제를 보면 형부들은 무슨 보험이라도 들어놓은 양 든
든하고 고마운 것이다.
조선일보 2008년 8월 27일 윤용인의 '아저氏 가라사대'